2022년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신청 총 정리
본문 바로가기
정보

2022년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신청 총 정리

by 금융안전 도우미 2022. 3. 21.

목차

    코로나 일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또다시 우리 국민들을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우울한 시기에 조금 희망찬 소식을 전해드리고자 하는데요.

     

    가구원 내의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하여 돌봐야 할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족돌봄휴가 지원금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신청방법 / 지원대상 / 지급액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족돌봄휴가 지원금이란 무엇인가?

    가족돌봄휴가는 무급으로 연간 최대 10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정이 있다면 하루씩 나눠 쓰는 것도 가능하며 근로기간 6개월 미만 자격이 주어지는데요.

     

    이미 무급휴가를 썼다면 사업주와 협의해 가족돌봄휴가로 전환한 뒤 지원금을 신청이 가능합니다.

     

    정당한 이유 없이 휴가 부여를 거부하는 사업주에게는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니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대상

    지원 대상은 코로나19에 감염된 가족을 돌보기 위해 올해 가족돌봄휴가를 사용한 근로자입니다.

     

    가족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없더라도 초등학교 2학년 또는 만 8세 이하 자녀의 원격수업, 휴교 및 휴원 때문에 가족돌봄휴가를 사용했다면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는데요.

     

    만 18세 이하 장애인 자녀가 있을 때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신청방법

    3월 21일부터 관련 예산이 전부 소모 될 때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의 경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를 통해, 오프라인의 경우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신청 할 수 있는데요.

     

    고용센터를 방문할때는 신분증과 주민등록등본, 가족돌봄휴가 확인서를 지참하셔서 방문하시면 다른 필요서류는 구비되어 있습니다.

     

    가족돌봄휴가 지원금 지급액

    근로자 1인당 하루 5만 원씩 최대 10일까지 총 50만 원이 지급됩니다.

     

    주 20시간 이하 근로자는 하루 2만5000원을 지원하고, 단시간 근로자는 근무 시간에 비례해 지원금이 산정되는데요.

     

    가령 하루 5시간 근무하는 경우 시간당 6250원 씩 하루 3만125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 이미 가족돌봄휴가를 쓴 경우에도 지원금 신청이 가능합니다.


    코로나 생활지원금 / 유급휴가 비용 신청 바로가기

    코로나 일확진자수가 계속해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코로나 생활지원금 / 유급휴가비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확진자수에 비해 저조한 집행률을 보이고 있는데요.

     

    지원금의 존재 자체를 모르거나 신청방법 등을 알지 못하여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코로나 생활지원금 / 유급휴가비용 신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국민 6차 재난지원금 신청 알아보기

    6차 재난지원금은 지난 2021년 10월 29일 전국민 100만 원 지급방안으로 처음 언급되었는데요.

     

    현재까지 정리된 전국민 6차재난지원금에 대한 신청 정보를 알아보세요.


    코로나 오미크론 확진자 현황 및 실시간 동선 파악

    실시간 이동경로 및 확진자 현황 알아보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전남 전북
    충남 충북 경북 경남
    제주

    자가격리 통지서 발급

    코로나 생활지원금을 지급받기 위해서는 자가격리 통지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데요.

     

    자가격리통지서를 발급 받는 방법은 관할 지자체(시, 군, 구)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관할 보건소에 전화 민원을 통하여 팩스로 받는 방법이 있으나 요즘 보건소 통화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온라인 홈페이지로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여건이 되지 않으실경우 직접 보건소에서 들려 현장에서 발급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